간척지답
간척지토양의 모재는 육지에서 운반된 암석풍화성분의 퇴적물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비옥하지만 간척 당시에는 벼농사에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염류가 많은 토양을 염류토라 한다.
간척 당시의 토양의 특징
높은 염분농도 때문에 벼의 생육이 저해
토양의 염분농도가 염화나트륨으로서 0.3%이하이면 벼의 재배가 가능하지만 0.1%이상이면 염해 우려
해변 아래에 다량 집적되어 있던 황화물은 간척하면 산화과정을 거쳐 황산이 되는데 황산이 토양을 강산성으로 만듦
특이산성토
유기물. 황이 표층토에 집적되어 강산성을 띠는 토양
지하수위가 높아서 쉽게 심한 환원상태가 되어 유해한 황화수소 생성
점토가 과다하고 나트륨이온이 많아서 토양의 투수성과 통기성이 나쁘다.
간척지 토양의 개량
관. 배수시설을 하여 염분과 황산을 제거하고 이상적 환원상태의 발달을 방지
석고. 토양개량제. 생고 등을 시용하여 토양의 물리성 개량
석회를 시용하여 산성 중화, 염분 쉽게 용탈
염생식물을 심어 염분을 흡수하게 한 다음 제거
염분 제거법
댬수법
물을 10여 일 간씩 대어 염분을 녹여서 배수하는 조처를 반복하는 방법
여과법
땅 속에 암거를 설치하여 염분을 걸러냄과 토양통기 촉진
명거법
5~10m 간격으로 도량을 내서 염분이 도랑으로 씻겨 내리도록 하는 방법
내염재배
염분이 많은 간척지 토양에 적응하는 재배법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벼농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내염성이 강한 벼품종을 선택
조기재배, 휴립재배
논물을 말리지 않으며 자주 환수
석회. 규산석회. 규회석을 시용하고 황산근을 가진 비료를 사용하지 않는다.
작물의 내염성 정도
강
사탕무. 유채. 양배추. 순무. 목화. 라이그래스
중
앨팰퍼. 토마토. 올리브. 아스파라거스. 수수. 보리. 호밀. 벼. 시금치. 양파. 고추. 호박. 밀. 포도. 무화과
약
레몬. 복숭아. 베치. 완두. 셀러리. 가지. 사과. 고구마. 감자. 녹두. 배. 살구. 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