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락의 광포화점
군락상태
포장에서 작물이 발생하고 크게 자라며 잎이 서로 쪼개져서 많은 수의 잎이 직사광을 받지 못하고 그늘에 있는 상태
포장의 작물은 군락상태를 형성하며 면적당 수량은 면적당 광합성량에 지배되므로 군락의 광합성이 수량을 지배
벼잎에 투사된 광은 10% 정도밖에는 잎을 투과하지 못한다.
군락이 우거져서 그늘의 잎이 많아지면 포화광을 받지 못하는 잎들이 증가하고 충분한 광을 받으려면 더욱 강한 광이 군락에 투사되어야 하므로 군락의 광포화점은 높아지게 된다.
군락의 광포화점은 군락의 형성도가 높을수록 높아지게 된다.
고립상태에 가까운 벼 생육 초기에는 낮은 조도에서 광포화를 이루지만 군락이 무성한 출수기 전후에는 전광에 가까운 높은 조도에서도 광포화가 보이지 않는다.
군락이 무성한 시기일수록 더욱 강한 일사가 필요
포화동화능력
포장군락의 단위면적당 동화능력이며 수량을 직접 지배
총엽면적. 수광능률. 평균동화능력 3자의 곱으로 표시
수광능률은 군락의 잎들이 어느 정도 광을 효율적으로 받아서 광합성에 이용하는가 하는 표시
총엽면적과 군락의 수광태세에 지배
수광능률을 높이려면 총엽면적을 알맞은 한도로 조절 군락 내부로 광투사를 좋게 하는 방향으로 수광태세를 개선
평균동화능력은 잎의 단위면적 당 동화능력 단위동화능력을 총엽면적에 대해 평균한 것
단위동화능력이 평균동화능력과 같은 뜻으로 많이 사용
시비. 물관리 등을 잘하여 무기영양상태를 좋게 하였을 때 높아진다.
최적엽면적
식물의 건물생산은 진정광합성량과 호흡량 차이
식물군락에서 엽면적이 증대하면 군락의 진정광합성량은 그에 따라 증가
군락의 엽면적이 증대함에 따라 그늘의 잎이 많아지므로 엽면적이 어느 정도 이상으로 커지면 엽면적 증대에 비례하여 진정광합성량은 증가하지 않지만 호흡량은 엽면적 증대에 비례해서 증가
외견상 광합성량 건물생산량은 어느 한계까지는 군락의 엽면적이 커지는데 따라 증가
그 이상 엽면적이 증대하면 엽면적이 커지는 데 따라 감소
건물생산이 최대로 되는 단위면적당 군락엽면적
엽면적지수
군락의 엽면적을 토지면적에 대한 배수치로 표시한 것
최적엽면적지수
최적엽면적일 때의 엽면적지수
최적엽면적은 일사량과 군락의 수광태세에 따라 크게 변동
최적엽면적지수를 크게 하면 군락의 건물생산을 크게 하여 수량 증대
군락의 수광태세
군락의 최적엽면적지수는 군락의 수광태세가 좋을 때 커진다.
동일엽면적이라도 군락의 수광능률은 수광태세가 좋을 때 높아진다.
수광태세의 개선은 광에너지의 이용도를 높이는데 기본적으로 중요
군락의 수광태세를 개선하려면 좋은 초형 의 품종을 육성하고 재배법도 개선하여 군락의 엽군구성을 좋게 한다.
벼의 초형
잎이 과히 얇지 않고 약간 좁으며 상위엽이 직립
키가 크지도 작지도 않다.
분얼이 조금 개산형인 것이 좋다.
각 잎이 공간적으로 되도록 균일하게 분포
옥수수 초형
상위엽이 직립하고 아래로 갈수록 약간씩 기울어 햐위엽은 수평이 된다.
수이삭이 작고 잎혀가 없다
암이삭은 1개인 것보다 2개인 것이 더욱 밀식에 적응
콩의 초형
키가 크고 도복이 안 되며 가지를 적게 치고 가지가 짧다
꼬투리가 원줄기에 많이 달리고 밑에까지 착생
잎자루가 짧고 일어선다
잎이 작고 가늘다.
재배법에 의한 수광태세의 개선
벼에서 규산. 칼리르 충분히 주면 잎이 꼿꼿이 선다.
무효분얼기에 질소를 적게 주면 상위엽이 꼿꼿이 선다.
질소를 과하게 주면 과번무하고 잎도 늘어진다.
벼나 콩에서 밀식 시에는 줄사이를 넓히고 포기사이를 좁히는 것이 파상군락을 형성케 하여 군락 하부로의 광투사를 좋게 한다.
맥류에서는 광파재배보다 드릴파재배를 하는 것이 잎이 조기에 포장 전면을 덮어서 수광상태가 좋아지고 포장의 지면증발량도 적어진다.
어느 작물이건 간에 재식밀도와 비배관리를 적절히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