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종간 교배
1대잡종품종의 육성은 자연수분품종간 교배 또느 자식계통간 교배를 하거나 여러 개의 자식계통으로 합성품종을 만든다.
자연수분품종끼리 교배한 1대잡종품종은 자식계통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생산성은 낮다.
F1종자의 채종이 유리하고 환경스트레스에 적응성이 높다는 이점
자가불화합성으로 자식이 곤란하거나 과수처럼 세대가 길어 자식계통의 육성이 어려운 경우 이용
자식계통간 교배
1대잡종품종의 잡종강세는 이형접합성이 높을 때 크게 나타남.
동형접합체인 자식계통을 육성하여 교배친으로 사용
자식계통 육성은 우량개체를 선발하여 5~7세대 동안 자가수정시킨다.
육성한 자식계통은 자식 또는 형매교배에 의해 유지되며 다른 우량한 자식계통과 교배하여 능력을 개량
잡종강세가 가장 큰 것은 단교배 1대잡종품종이나 채종량이 적고 종자가격이 비싸다는 결점이 있다.
사료작물에서는 3원교배 및 복교배 1대잡종품종이 많이 이용
조합능력
1대잡종이 잡종강세를 나타내는 교배친의 상대적 능력이며, 일반조합능력과 특정조합능력이 있다.
일반조합능력
어떤 자식계통이 다른 많은 검정계통과 교배되어 나타나는 1대잡종의 평균잡종강세이고
특정조합능력
특정한 교배조합의 F1에서만 나타나는 잡종 강세
조합능력은 순환선발에 의하여 개량
조합능력의 검정
먼저 톱교배로 일반조합능력을 검정하고 거기서 선발된 자식계통으로 단교배하여 특정조합능력을 검정
1대잡종 종자의 채종은 인공교배를 하거나 식물의 웅성불임성 또는 자가불화합성을 이용
인공교배 : 오이, 수박, 호박, 멜론, 참외, 토마토, 가지, 피망
웅성불임성 이용 : 당근, 상추, 고추, 쑥갓, 파, 양파, 옥수수, 벼, 밀
자가불화합성 이용 : 양배추, 무, 배추, 브로콜리, 순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