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수성 육종
배수체의 특성을 이용하여 신품종을 육성하는 방법
3배체 이상의 배수체는 2배체에 비하여 세포와 기관이 크고 병해충에 대한 저항성이 증대
형질에 변화가 생긴다.
배수체를 작성하는 방법으로 세포분열이 왕성한 생장점에 콜히친을 처리
조직배양에서 생기는 배수성 세포를 재분화시키는 방법
콜히친의 작용은 분열 중인 세포에서 방추체 형성, 동원체 분할, 방추사의 발달 등을 방해
2배체식물의 발아종자나 끝눈 또는 겨드랑이눈의 생장점에 0.01~0.2% 콜히친수용액을 처리하면 복제된 염색체가 양극으로 분리되지 못하여 4배성 세포가 생기는데 세포가 4배체로 발달
반수체는 생육이 불량하고 완전불임으로 실용성이 없다.
반수체의 염색체를 배가하면 동형접합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육종연한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열성형질 선발 용이
반수체육종
반수체의 특성을 이용
반수체는 거의 모든 식물에서 발생
자연상태에서는 반수체의 발생빈도가 낮다.
인위적으로 반수체를 만드는 방법으로 약배양 화분배양 종속간 교배 반수체유도유전자 이용
약배양은 화분배양보다 배양이 간단
식물체 재분화율이 높다
돌연변이 육종
기존 품종의 종자 또는 식물체에 돌연변이유발원을 처리하여 변이를 일으킨 후 특정한 형질만 변화하거나 또는 새로운 형질이 나타난 변이체를 골라 신품종으로 육성
열성돌연변이가 많고 돌연변이 유발장소를 제어할 수 없다.
교배육종이 어려운 영양번식작물에 유리
영양번식작물은 이형접합체의 어느 한쪽 유전자가 돌연변이를 일으키면 즉시 동형접합성 세포가 생김
영양번식작물에 돌연변이 유발원을 처리하면 체세포돌연변이를 얻을 수 있다.
돌연변이체 중에서 우량한 것을 선발하여 조직배양 분주 접목 등에 의해 신품종 육성
키메라
영양번식작물의 체세포돌연변이는 조직의 일부세포에 생기므로 정상조직과 변이조직이 함께 있게 되는 것
수량이 낮은 돌연변이체는 원품종과 교배하면 생산성을 회복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