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터디(농업분야)

전공 공부

by 팔로 FOLLOW ME 2023. 8. 11.

순계선발

재래종 집단에서 우량한 유전자형을 분리하여 품종으로 육성하는 것을 분리육종이라 한다.

 

자식성 작물의 분리육종은 개체선발을 통해 순계를 육성

타식성 작물의 경우 : 집단선발에 의하여 집단개량을 함

영양번식작물 : 영양계를 선발하여 증식

자식성 작물의 재래종은 재배과정에서 타가수분, 자연돌연변이, 다른 품종의 기계적 혼입 등에 의하여 여러 가지 유전자형을 포함

오랫동안 자식을 해왔으므로 대부분 동형접합체

 

순계선발

재래종 집단에서 우량한 개체를 선발하여 계통재배하면 순계를 얻을 수 있다.

순계는 생산성 검정과 지역적응성 검정을 거쳐 우량품종이 육성

우리나라 벼의 은방주, 콩의 장단백목, 고추의 풋고추 등은 모두 순계선발에 의하여 육성된 품종

 

교배육종

재래종 집단에서 우량한 유전자형을 선발할 수 없을 때, 인공교배로 새로운 유전변이를 만들어 신품종을 육성하는 육성방법

 

조합육종

교배를 통해 서로 다른 품종이 별도로 가지고 있는 우량형질을 한 개체 속에 조합하는 것

초월육종

같은 형질에 대하여 양친보다 더 우수한 특성이 나타나는 것

 

계통육종

인공교배하여 F1을 만들고 F2부터 매세대 개체선발과 계통재배 및 계통선발을 반복하면서 우량한 유전자형의 순계를 육성

잡총 초기세대부터 계통단위로 선발하므로 육종효과가 빨리 나타나는 이점이 있다.

효율적인 선발을 위해서 목표형질의 특성검정방법이 필요, 경험과 안목이 중요

 

집단육종

잡종 초기세대에는 선발하지 않고 혼합채종과 집단재배를 반복한 후 집단의 80%가 동형접합체로 된 후기세대에 가서 개체선발하여 순계를 육성하는 방법

초기세대에 선발하지 않으므로 잡종집단의 취급이 용이하고 동형접합체가 증가한 후기세대에 선발하기 때문에 선발이 간편

집단재배에 의하여 자연선택을 유리하게 이용

출현빈도가 낮은 우량유전자형을 선발할 가능성이 크다.

'스터디(농업분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공 공부  (0) 2023.08.12
전공 공부  (0) 2023.08.12
전공 스터디  (0) 2023.08.10
전공 스터디  (0) 2023.08.10
스터디  (0) 2023.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