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터디(농업분야)

전공 재배학

by 팔로 FOLLOW ME 2023. 9. 8.

상적 발육의 개념

발육상과 상적발육

 

신장

작물생육에서 키가 크는 것

 

생장

여러 기관이 양적으로 증대하는 것

 

발육

작물이 아생. 분얼. 화성. 등숙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체내에 질적인 재조정작용이 생기는 것

 

발육상

작물발육의 여러 가지 단계적 양상

 

상적발육

작물이 순차적인 여러 발육상을 거쳐서 발육이 완성되는 것

 

화성

상적 발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발육상의 경과로서 영양기관의 발육단계인 영양적 발육 또는 영양생장을 거쳐 생식기관의 발육단계인 생식적 발육 또는 생식생장으로 이행하는 것

 

리첸코는 가을밀을 재료로 해서 얻은 상적 발육의 이론을 단계발육설로 제창

작물의 생장과 발육은 다르며 생장은 여러기관의 양적 증가를 의미하지만 발육은 체내의 순차적인 질적 재조정작용 의미

1년생 종자식물의 발육상은 하나하나 단계    상으로 구성

하나하나의 발육상은 서로 연결하여 성립되며 앞의 발육상을 경과하지 못하면 다음의 발육상으로 이행될 수 없다.

1개의 식물체가 하나하나의 발육상을 경과하려면 발육상에 따라 서로 다른 특정한 환경조건이 필요

 

작물의 발육상

추파맥류는 생육초기에 일정한 저온과 그 뒤에 일정한 장일조건을 경과하지 못하면 출수. 개화. 성숙의 단계에 도달하지 못한다.

작물의 상적 발육에는 초기의 특정 온도가 필요한 단계인 감온상 또는 감온기가 있고 그 뒤에 특정 일장이 필요한 단계인 감광상 또는 감광기가 있다.

추파맥류에서는 감온상과 감광상이 모두 뚜렷하며 자포니카벼의 만생종에서는 감광상이 뚜렷

토마토에서는 감온상과 감광상을 뚜렷하게 구분할 수 없다.

 

화성의 유인

화성유도의 주요 요인

내적 요인 

영양상태 특히 C/N율로 대표되는 동화생산물의 양적 관계

식물호르몬, 옥신과 지베렐린의 체내 수준관계

 

외적요인

광조건, 특히 일장효과의 관계

온도조건, 특히 버널리제이션과 감온성의 관계

 

화성에 대한 환경의 지배도

추파맥류의 최소엽수

최소엽수

주경간에 화아분화가 생길 때까지의 최소 착엽수이다.

가을호밀의 Petkus라는 품종은 화성에 알맞은 조건을 주면 최소엽수가 5매로 되고 화성에 가장 불리한 조건을 주더라도 주간엽수가 25매가 된 다음에는 출수

주간의 5마디는 어떠한 조건에서도 잎이 되는 부동엽아시원체를 가짐

26마디 이상은 어떠한 조건에서도 소수만을 형성하는 부동소수시원체를 가짐

 

 

 

 

 

 

 

'스터디(농업분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공 재배학  (1) 2023.09.09
전공 재배학  (0) 2023.09.09
전공 재배학  (0) 2023.09.08
전공 재배학  (0) 2023.09.07
전공 재배학  (0) 2023.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