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터디(농업분야)

전공 재배학

by 팔로 FOLLOW ME 2023. 9. 9.

버널리제이션

식물체가 생육의 일정시기에 저온을 경과함으로써 화성

꽃눈의 분화. 발육이 유도. 촉진되거나 생육의 일정시기에 일정기간 인위적인 저온을 주어서 화성을 유도. 촉진하는 것

일정한 저온조건에서 식물의 감온성을 경과하도록 하는 것

 

버널리제이션의 구분

처리온도에 따른 구분

일반적으로 고온버널리제이션보다 저온버널리제이션의 효과가 결정적이며 버널리제이션이라고 하면 보통 저온버널리제이션을 말함

 

저온버널리제이션 (저온처리. 저온춘화) 

일반적으로 월년생 장일작물은 비교적 저온인 0~10도의 처리가 유효

고온버널리제이션 (고온처리. 고온춘화)

단일식물은 비교적 고온인 10~30도의 처리가 유효

 

처리시기에 따른 부분

종자버널리제이션

최아종자의 시기에 버널리제이션을 하는 것

종자춘화형식물

종자버널리제이션을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 큰 식물

추파맥류. 완두. 잠두. 봄올무

 

녹체버널리제이션

식물이 일정한 크기에 달한 녹채기에 버널리제이션을 하는 것

녹체춘화형식물

녹체버널리제이션을 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큰 식물

양배추. 사리풀

 

비춘화형 식물

저온처리의 효과가 뚜렷하지 않은 식물

 

단일춘화

추파맥류는 종자춘화형 식물

최아종자를 저온처리하면 봄에 파종해도 좌지현상이 방지되고 정상적으로 출수

저온처리를 하지 않더라도 본엽 1매 정도의 녹체기에 한달 동안의 단일처리를 하되 명기에 적외선이 많은 광을 조명하면 버널리제이션을 한 것과 같은 효과

 

화학적 춘화

지베렐린 같은 화학물질을 처리해도 버널리제이션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버널리제이션 방법

최아

처리종자는 병균에 감염되기 쉬우므로 종자를 소독하는 것이 좋다.

종자버널리제이션을 할 때에는 종자근의 시원체인 백체가 나타나기 시작할 무렵까지 최아하여 처리

 

온도 이외의 조건

산소

산소의 공급이 절대로 필요하며 호흡을 저해하는 조건은 버널리제이션도 저해

최아종자의 저온처리의 경우에는 광의 유무가 버널리제이션에 관계하지 않으나 고온처리의 경우 암조건이 필요

건조

처리 중에 종자가 건조하면 버널리제이션효과가 감괘

탄수화물

배나 생장점에 당과 같은 탄수화물이 공급되지 않으면 버널리제이션효과가 나타나기 힘들다.

 

이춘화와 재춘화

저온버널리제이션에서 고온은 버널리제이션 효과 감쇄

밀에서 8시간의 0~5도 처리와 16시간의 25~30도 처리를 조합해서 계속 처리하면 저온 처리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춘화

밀에서 저온버널리제이션을 실시한 직후에 35도 정도의 고온처리를 하면 버널리제이션 효과 상실

 

버널리제이션효과의 정착

저온처리기간이 길어질수록 이춘화하기가 힘들어지며 어느 기간이 지나면 고온조건을 주어도 이춘화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김

 

재춘화

가을호밀에서는 이춘화 후에 다시 저온처리를 하면 다시 완전한 버널리제이션이 된다.

춘화와 평행적이며 춘화. 이춘화. 재춘화의 현상은 버널리제이션의 가역상을 표시하는 것

 

식물생장조절제와 버널리제이션 

화학적 춘화

화학물질의 처리로 버널리제이션의 효과가 완전히 대체되거나 크게 보강되는 것

지베렐린. IAA. IBA 등이 화학적 춘화에 효과가 있다.

 

지베렐린의 버널리제이션 대체효과

국화과. 배추과 여러 과의 저온요구식물을 버널리제이션 처리를 하지 않고 장일조건에서 재배하면서 지베렐린처리를 하면 가운데서 많은 식물의 화서이 유도

밀. 호밀. 유채 추파형은 춘파형보다 지베렐린 함량이 낮지만, 저온처리 중에 함량이 높아져서 온도유도가 끝나면 춘파형과 같은 수준의 함량으로 된다.

 

옥신의 화아분화효과

옥신도 완두 일종의 종자를 NAA용액에 침지하면 화성 촉진

가을보리에 옥신을 주입하면 착화수가 증대

시금치에서도 종자를 1ppm의 NAA 용액에 침지하고 저온처리를 하면 화아분화. 추대. 개화 앞당겨짐

옥신처리와 저온처리를 통시에 하면 화아분화가 더 촉진

 

화학적 이춘화

화학물질의 처리에 의하여 버널리제이션효과가 소실 또는 감쇄

아마는 저온처리 후에 NAA. IBA를 처리하면 버널리제이션효과가 감쇄

완두의 왜생종 또는 잠두에서는 저온처리 후 어린식물에 지베렐린을 가용하면 버널리제이션효과 소실

 

맥류에서는 추파성 정도가 높은 품종은 조파를 해도 안전

조파를 해야 유효분얼이 많아져서 증수하고 성숙도 앞당길 수 있고 추파성 정도가 낮은 품종은 조파를 하면 월동 전에 생식생장이 유도되어 월동 중 동사의 위험성이 있어 비교적 만파를 하는 것이 안전

만파를 해도 성숙이 늦지 않다.

'스터디(농업분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공 재배학  (0) 2023.09.09
전공 재배학  (0) 2023.09.09
전공 재배학  (0) 2023.09.09
전공 재배학  (0) 2023.09.08
전공 재배학  (0) 2023.09.08